ElasitcSearch의 Request와 Response는 모두 REST API 형태로 제공한다.
REST API란?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약자로써 웹상의 모든 리소스에 URL를 부여하고 활용하는 아키텍처이다.
엘라스틱서치 요청과 응답
<aside>
💡 다른 REST API 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http://localhost:9200/ 뒤에 작성
</aside>
키바나 콘솔 사용법

- 키바나 콘솔을 시용하면 복잡한 앱 개발이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엘라스틱서치와 REST API로 통신 가능
- 실행 : Ctrl + Enter
시스템 상태 확인 - cat (compact and aligned text)
- cat를 통해 제공하는 기능들은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는 용도
- cat API를 통해서 Node / Shard / Templat 등의 상태 정보를 확인
- 현재 클러스터 상태를 빠르게 확인 및 시스템 운영할 때 클러스터 상태를 확인하고 조치
GET _cat
GET _cat/indices?v
인덱스와 도큐먼트
- 일반적으로 엘라스틱을 이용해 시스템을 개발하면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하나의 클러스터를 생성
- 클러스터 내부는 데이터 성격에 따라 여러 개의 인덱스
- 인덱스 : 도큐먼트를 저장하는 논리적 구분자